[차이나워치] 中, 지역사회 감염 6개월 만에 최다…통제·봉쇄 강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그동안 강력한 통제 조치로 코로나19 확산을 막아오던 중국도 최근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 연결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임광빈 특파원, 중국에서도 확진자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지난 7월 한 달간 확진자 수가 직전 5개월 동안 확인된 확진자 수에 버금갈 정도였는데요.<br /><br />지난달 20일 난징 루커우 공항 직원들의 집단 감염이 확산의 기폭제가 됐습니다.<br /><br />이달 들어서도 무증상 감염자까지 포함해 중국 본토에서만 하루 평균 80명에서 90명 안팎의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은 결국 100명을 넘겼습니다.<br /><br />지역사회 감염 확진자만 계산하면 지난 1월 25일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치인데, 해외유입 사례도 적지 않아 중국 당국이 바짝 긴장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절대적인 숫자가 많은 것은 아니지만, 확산세가 가파른 데다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게 중국 당국의 걱정인데요.<br /><br />지난달 말 이후 확진자나 무증상 감염자가 발생한 지역은 중국 내 31개 성시 가운데, 17곳에 이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은 코로나19 확산과 직무상 과실 등에 대한 책임을 물어 관련 공무원 24명을 줄줄이 해임 조치했습니다.<br /><br />동시다발적으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,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방역 조치 강도가 강력한 중국에서는 지역 봉쇄와 통제가 더욱 강화됐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 곳곳에서 코로나19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. 여름철 여행 성수기에는 확산 위험이 증가합니다. 확진 사례가 발견될 경우 가능한 한 빨리 확산 차단을 위해 엄격한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최근 중국이 미국을 향해 '코로나 최대전파국'이라며 비난하고 나섰는데요.<br /><br />어떤 이유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중국 매체들을 보면요. 미국의 코로나19 대응을 비판하는 사설과 기사를 잇달아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10만 명을 넘기며 2월 초 이래 최다치를 보였다면서, '감염병 대응이 엉망'이라고 지적하는가 하면요.<br /><br />미국의 허술한 대응이 코로나의 전 세계 확산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며 "바이러스 최대 전파국"이라고 비난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는 데 대해 미국의 책임론을 부각하면서, 코로나19 '중국 기원설' 논란을 반격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앞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 정보당국에 이달 말까지 코로나19 기원을 추가 조사하라고 지시한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미국 정보당국이 중국 우한연구소발 유전자 데이터를 대량 입수해 분석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미국 CNN방송이 여러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인데요.<br /><br />미국 정보당국이 언제, 어떻게 데이터에 접근했는지는 불분명하다면서, 해킹을 통해 데이터를 입수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입수한 데이터를 이용해 코로나19 기원을 확정하는 데 필요한 증거를 충분히 찾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CNN 방송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은 코로나19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 체류 홍콩인의 추방유예를 지시했는데, 중국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에 체류 중인 홍콩 주민의 추방을 18개월간 유예한다는 각서에 서명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일방적으로 제정해 홍콩에서 권리와 자유의 향유를 훼손했다고 지적했는데요.<br /><br />"홍콩에서 자유를 박탈당한 주민에게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은 이 지역에서 미국의 이익을 증진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번 조치는 인권과 관련해 우리가 강조해 온 바를 실천하는 동시에,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탄압에 홍콩시민들이 직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."<br /><br />중국은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가 '반중 세력을 미화하는 것'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 홍콩 주재 특파원공서는 "홍콩보안법 도입 후 지난 1년간 홍콩의 범죄가 줄고 경제와 금융이 강세를 보이며 일국양제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졌다"고 강변했는데요.<br /><br />"미국은 이러한 기본적인 사실과 홍콩 주민의 의견을 무시한 채 거짓말로 홍콩보안법을 모독했다"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이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은 홍콩을 쇠퇴시키고 중국을 모독하려는 파렴치한 정치공작"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대만에 우리 돈 8,580억 원 규모의 무기 수출도 처음 승인했는데요.<br /><br />'하나의 중국'을 주장하며 대만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봐 온 중국은 이번 미국의 조치에 대해서도 '대만 독립' 분열 세력에 잘못된 신호를 주는 것이라며 강력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중미 관계와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손상을 끼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 정부가 최근 사교육 기업에 대한 강도 높은 규제 조치에 나섰는데요.<br /><br />중국 SNS에서 학원 단속 영상이 논란이 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먼저 준비한 영상을 함께 보면서 더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어제(5일) 오후 중국 중부 안후이성 허페이시의 한 사설학원 입구인데요.<br /><br />공안 경찰과 방역 요원들이 큰 문을 발로 차고 들어가 학생들을 가르치던 한 남성의 뒷덜미를 잡아채 끌고 나옵니다.<br /><br />놀란 학생들은 어리둥절한 모습인데요.<br /><br />당국은 방역 수칙 위반을 단속했다고 밝혔지만, 이 영상을 본 누리꾼들의 반응은 다릅니다.<br /><br />방역 단속 요원들이 정작 마스크를 쓰지 않고 있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것인데요.<br /><br />이는 사설학원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라면서, 사교육 규제 정책을 이해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 같은 지적에도 각 지방 정부들은 서둘러 사교육 규제 조치를 실행에 옮기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, 상하이시 교육당국이 어제(5일) 교육과정 개편 정책을 발표했는데요.<br /><br />올해 하반기 학기부터 모든 초등학교에서 영어 시험을 금지하겠다고 밝혔...